-
교직원 혜택 정리 1탄 (대출)사회초년생의 직장생활 QnA 2022. 5. 30. 12:47
최근에 회사 동료분들과 점심시간에 오래간만에 밖에서 외식을 하면서 회사 복지 혜택등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는데
많은 분들이 교직원으로써 누릴 수 있는 혜택들을 잘 모르고 계시더라고요.
오늘은 교직원 공제회 회원이시면 어떠한 제휴 혜택과 할인이 있는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물론 그 할인의 폭은 혜택에 비해 제한이 많으며... ㅋㅋㅋㅋㅋㅋ
할인 비율에 비해 많은 수고로움을 요하지만,
없는 것보다는 나으니까요 ㅎㅎㅎ
저는 개인적으로 사학연금으로 돈 그렇게 많이 떼고, 교직원 공제회에 적금 꼬박꼬박 붓고 있는데
혜택을 못 누리면 아까우니까...
아까운 마음에 아무도 안 가르쳐 주는 혜택 아등바등 찾아서 쓰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찾아본 바로는
1. 단기 대출
2. 교직원 공제회 제휴 할인
3. 경조사 복지 부조
요렇게가 나름 쓸모 있는 혜택들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대출 부분만 같이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단기 대출
저는 아직 사회 초년생이고, 마이너스 통장으로도 급한 불은 언제든지 끌 수 있어서
이 혜택은 누려보지 않았는데요.
교직원이시라면, 사학연금 대출과 교직원 공제회 대출 둘 다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장점은 1년 이상 사학연금과 교직원 적금을 부으신 분들이라면 신용 등급에 따라 대출이 가능하고
단점은 이율이 높은 편입니다.
그래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장기로는 혜택이라 볼 수 없고,
단기로 급전이 필요하신 분들께 이득일 것 같습니다.
제 주위에서 사학연금과 교직원 공제회 대출을 받으시는 경우는 대부분
이사를 가야 하는데 날짜가 안 맞아서 단기로 큰돈이 필요한 분들이 이 대출을 받으시더라고요.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고, 웬만하면 대출이 나오며, 원하는 날짜를 선택해서 돈을 받으실 수 있고,
심지어 돈이 빨리 나옵니다. (저는 1-2일 만에 나오는 경우도 봤어요 .. 거진 심사를 안 하는 느낌적인 느낌) ㅋㅋㅋ
웹사이트 주소같이 첨부해 드리겠습니다.
1. 교직원 공제회 대출
대출의 종류는 아래 사진 내용과 같습니다.
교직원공제회 대출 종류
일반대출의 경우 연 3.74%의 변동금리로 높은 이율입니다.
하지만, THE-K 복지누리 대여의 경우 모두 2.99%(변동금리) 상품이라,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안 나오거나, 시중은행이 3%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 쓸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에서 추천드리는 교직원 공제회 대출에서 추천드리는 상품은 미소 누리 최초 대여입니다.
이 상품은 장기 저축 급여 가입 후 대여를 처음 이용하는 회원분들에게 일반 대여보다 낮은 금리로 대여하는 제도인데요. 최대 대출한도도 3천만 원 정도로 나름 높은 편인데, 가입 후 1번만 가입 가능한 상품이라 집 매매 때 사용하려고 아껴두고 있습니다.
THE-K 복지 누리 대출 상품 중에서는
미소 누리와 든든 누리 주택 대여가 최대 3천까지 가능하며,
다른 상품들은 최대 1천만 원 미만으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2. 사학연금 대출
사학연금 대출의 경우
1. 생활자금 대여 (연 3.45%)
2. 행복 나눔 대여 (연 2.4%) < 요 상품이 사학 연급 대출 중에 가장 괜찮습니다
3. 학자금 대여 (무이자)
4. 재직자 협약대출 (우리은행 최대 8천, KB&농협&기업 최대 3천)
까지 대출의 종류가 다양합니다.
온라인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학연금 대출 방법
재직기간이 짧으신 분들은 대출 한도가 적은데요
1) 사학연금 고객센터 전화 연결 (1588-4110) 후,
2) 본이 확인 및 대출 가능 여부 문의
3) 보증보험 설정 동의
하면, 신용에 문제없으신 이상 최대 대출 한도인 3천까지 무리 없이 가능하실 겁니다.
#장기대출 의 경우
우선 회사 (병원 또는 학교)가 계약되어 있는 은행에서
대출을 먼저 알아보시는 것이 유리할 듯합니다.
저희 병원의 경우, 농협 000 지점과 협력관계인데
이곳에 가면 대출 이율이 1.5-2.2% (신용과 소득에 따라)로
타 은행사에 비해 이율이 많이 낮습니다.
그래서 보통 많은 분들이 협력관계에 있는 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사용하시면서
이런 이율 혜택을 많이 받으시더라고요.
대출이 필요한 교직원분들께서 주거래 은행만 알아보지 마시고,
상황과 케이스에 따라 교직원 공제회, 사학연금, 회사 주거래 은행 등 다양한 케이스들을 알아보신 후
현명한 선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모두 좋은 주말 보내세요 :)
'사회초년생의 직장생활 Q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이 알면 좋은 대출에 관한 상식 10가지 (0) 2021.04.23 AI 면접 후기 + 면접 꿀팁 (0) 2021.04.22 사회초년생이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월급에 관한 10가지 사실 (0) 2021.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