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기쉬운 우탕탕 경제학> -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차이,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을 대표하는 학자들과 이론들 정리내가 공부하려 만든 경제 2023. 4. 23. 22:57
거시 경제학과 미시 경제학의 차이점과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을 대표하는 학자와 이론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거시경제학>
1. 거시경제학은 개별 시장이나 기업이 아닌 경제의 전반적인 성과를 다룹니다.
2. 국민 소득, 고용, 인플레이션, 이자율 및 국제 무역과 같은 대규모 경제 집계의 행동과 성과를 조사합니다.
3. 거시 경제학자들은 정부 정책, 통화 정책 및 국제 무역과 같은 다양한 경제 요인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여 경제의 전반적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합니다.
4. 거시경제학을 대표하는 학자와 그 이론들
- 아담 스미스 (Adam Smith) : 경제학의 대표적인 창시자이며, "자본론(Wealth of Nations)"에서 경제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 "자유 시장"이 경제 발전의 핵심 원리라고 주장하였으며, 경제 주체의 이기심이 경제의 발전을 이끌어낸다는 것을 강조
- 존 메이너드 케인즈 (John Maynard Keynes) : "일자리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을 통해 대공황 시기에 대한 경제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경제개입을 주장. 케인즈의 이론은 케인지언 경제학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끼치는 중.
- 마코누 (Franco Modigliani) : 케인즈 이론을 확장하여 경제 모형을 개발. 특히, 개인들이 적극적으로 저축을 하지 않을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지출 정책이 경제를 안정시키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
- 마이클 푸샤 (Michael P. Fusher) :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연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경제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발전시킴.
- 마틴 푸셔 (Martin Feldstein) : 세금, 노동시장, 사회보장 등의 문제를 다룬 경제학자로,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특히, 경제학계에서는 "푸셔 패러독스(Feldstein's Paradox)"라고 불리는 현상을 제시하여, 경제 정책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설명
<미시경제학>
1. 미시경제학은 소비자, 기업, 시장과 같은 개별 경제 주체의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2. 미시경제학은 개인이 어떻게 결정을 내리고 이러한 결정이 가격, 수량 및 복지와 같은 시장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합니다.
3. 미시 경제학자들은 다양한 시장 구조에 있는 기업의 행동,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호 작용, 개별 시장에 대한 정부 규제의 영향을 연구합니다.
4. 미시경제학의 대표적인 학자들과 그 이론
- 알프레드 마샬 (Alfred Marshall) : 마샬은 공급과 수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장 경제의 작동을 이해하고, 가격이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한 마샬의 수요공급모형 만듬 .
- 레오네트로 폰히페르 (Leon Walras) : 폰히페르는 경제의 일반균형이론을 개발.
일반균형이론이란? 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과 수량이 서로 결합하여 일관성 있는 가격이 형성되는 이론
- 존 메이너드 케인즈 (John Maynard Keynes) : 케인즈는 균형이론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대체적인 경제 모형을 제안. 케인지안 경제학은 경제주체의 선택과정과 정부의 경제적 개입이 경제의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함
- 박승준 (Seung Jun Park) : 박승준 교수는 정보의 불확실성과 불완전성이 시장에서의 거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보의 수집비용과 정보의 전달비용이 경제주체의 선택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다룸
- 폴 크루그먼 (Paul Krugman) : 크루그먼은 국제무역과 경제 성장 등을 연구하는데 큰 공헌한 학자. 또한, 경제학을 대중에게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저서와 컬럼 활동 등으로도 잘 알려져 있음
<요약>
거시경제학은 경제의 전반적인 성과를 다루는 반면 미시경제학은 개별 에이전트와 시장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가 공부하려 만든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우당탕 경제학> - 통화량이란 무엇인가? (통화량, 통화량결정법, 통화량 중요성 및 영향력, 통화량 산출방법, 통화량을 결정하는 중앙 (0) 2023.04.25 <알기쉬운 우탕탕 경제학> - 국제무역이론과 국제무역이론 모형 요약 (0) 2023.04.24 <알기쉬운 우탕탕 경제학> - 금융정책 요약 , 금융정책을 주장한 대표 학자들과 이론, 재정 정책의 사용 예시,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의 차이 (0) 2023.04.24 <알기쉬운 우탕탕 경제학> - 재정정책 요약 , 재정정책을 주장한 대표 학자들과 이론, 재정 정책의 사용 예시 (0) 2023.04.23 [내가 볼려고 적는 경제] - 화물연대 파업 정리 (0) 2022.12.01